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등교육과

선택과목 안내

교과
과목

과목안내(전문교과1) 전체보기

국제관계와 국제기구

과목 소개

국제 관계와 국제기구 과목은 국제 관계의 구조와 질서의 역동적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제 사회에서 국제기구의 역할에 대해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바람직한 국제 관계를 위한 합리적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개설된 사회과 전문 교과이다. 국제 관계에 대한 종합적 인식 능력을 바탕으로 국제적 분쟁과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켜 글로벌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내용 체계

국제관계와 국제기구의 핵심개념, 내용 요소, 내용 성격에 관한 내용
핵심개념 내용 요소 내용 성격
  • 세계화
  • 국제기구
  • 세계화의 의미와 영향
  • 국제 사회의 다양한 행위 주체
  • 국제기구의 종류와 기능
  • 정보화, 세계화는 국제 관계의 상호 관련성을 심화시켰다.
  • 국제 사회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국제 행위 주체가 등장하였다.
  • 국제 분쟁 해결과 국제 평화 및 협력 정착을 위한 목적 하에 다양한 국제 체제와 기구가 성립되었다.
  • 국제 안보
  • 국제 연합
  • 국제 안보 질서의 변화
  • 현대 세계 안보 체제와 국제기구
  • 동북아시아와 한반도 관계
  • 국가 안보를 위한 집단 안보 개념에 이어 탈냉전 시대에는 인간 안보 개념이 등장했다.
  • 국제 연합은 가장 대표적인 국제 안보 기구이다.
  • 탈냉전 이후 테러리즘과 대량 살상 무기가 국제 안보의 위협이 되고 있다.
  • 한반도를 둘러싼 미, 중, 일, 러의 관계로 인해 갈등과 평화 요소가 공존한다.
  • 국제 무역 질서
  • 세계 무역 기구
  • 자유 무역 협정
  • 국제 무역 질서의 변화
  • 현대 세계 무역 체재와 국제기구
  • 공적 개발 원조와 아시아 경제 협력
  • 국제 무역 질서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 체제에서 세계 무역 기구(WTO) 체제로 변화해 왔다.
  • 저개발국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공적 개발 원조(ODA) 등을 통한 선진국의 개도국 발전 지원이 이루어졌다.
  • 유럽 연합 창설에 대응하여 아시아 지역에서는 아세안(ASEAN)이 창설되었다.
  • 제 금융 통화 질서 및 체제
  • 국제 통화 기금
  • 국제 금융․통화 질서의 변화
  • 세계 금융․통화 체제와 국제기구
  • 세계 금융․통화 질서와 한국
  • 아시아 금융․통화 협력
  • 2O세기 중반 국제 금융 통화 질서가 변화하면서 국제 통화 기금(IMF)와 국제 부흥 개발은행(IBRD)이 창설되었다.
  • 국제 금융 활동의 증가와 상호 의존의 심화로 기존 체제가 붕괴되고 국제 통화 체제의 위기가 증대되었다.
  • 동아시아 금융 위기 이후 새로운 국제 금융 거버너스의 도입이 논의되었다.
  • 글로벌 거버넌스
  • 지속 가능한 발전
  • 환경․에너지 문제의 등장
  • 환경․에너지 관련 국제기구
  • 환경․에너지 문제와 우리의 대응
  • 환경과 에너지 문제는 상대적으로 최근에 들어서야 주목 받기 시작했으며, 국제 정치적 성격을 갖는다.
  • 환경과 에너지 문제는 전 지구적 위기를 악화시키며 글로벌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심화시킨다.
  • 한국의 환경과 에너지 문제에 대한 대응은 한국의 국제 정치적 지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최근 업데이트 일시 : 2022/11/24 16:22:39

콘텐츠 만족도 조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