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촬영’은 카메라와 촬영의 원리를 이해하고, 촬영 및 실습을 통합적으로 학습하는 과목이다. 카메라의 특성과 구조, 기본적인 사용 방법 등을 익혀 다양한 표현 방법을 활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공동체 의식, 이미지 표현 능력, 시각적 정보 처리 능력과 같은 과목의 역량을 계발하게 된다.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은 수업 내용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원리를 이해하며 학습을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이다. 공동체 의식은 조별활동으로 이루어지는 학습 단계에서 구성원으로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수용 및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미지 표현 능력은 개인의 이미지 발표를 통한 언어의 시각화(이미지화), 정보 수집 능력, 비판적 사고력, 매체 표현 방식 등에 대한 능력이다. 시각적 정보 처리 능력은 다양한 시각적 정보와 자료를 수집, 분석, 평가, 선택하고, 적절한 매체를 활용하여 시각적 정보와 자료를 효과적으로 처리함으로써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다.
영역 | 하위 영역 | 일반화된 지식 | 내용 요소 | 기능 |
---|---|---|---|---|
촬영 원리의 이해 | 카메라의 이해 | 카메라의 작동 및 결상의 원리를 이해하고 구조에 따른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카메라를 이해할 수 있다. | 카메라의 구조와 원리 |
|
카메라의 종류와 특성 | ||||
렌즈의 이해 | 적절한 렌즈의 활용은 다양한 작품을 표현한다. | 렌즈의 구조와 원리 | ||
렌즈의 종류와 특성 | ||||
노출의 이해 | 노출은 사진 촬영 시작 단계에서 알아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 노출 측정 방식 | ||
노출의 변화 | ||||
사진 제작 | 기초 촬영 실습 | 효과적인 화면 구성을 위해서 다양한 장비를 사용한다. | 교환 렌즈의 활용 | |
앵글, 화각, 촬영 거리, 스트로보, 피사계 심도 | ||||
구성과 활용 | 화면 구성의 활용은 작품의 예술성을 향상시킨다. | 화면 구성 | ||
효과적인 표현 방법 |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