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이해’는 영화의 기초적인 이론과 역사를 통해 영화의 본질을 이해하고 영화 창작과 이론 학습의 기틀을 마련하는 과목이다. 이 과목에서는 영화의 특성과 구성 요소의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영화가 가진 고유한 예술적 특성과 미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세계 영화와 한국 영화의 흐름을 통해서 영화의 기술적인 발전과 영화와 인간, 역사, 사회가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왔는가를 이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영화의 이해’ 탐구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창의적 사고 능력, 분석력, 예술적 상상력과 같은 과목의 역량을 계발하게 된다. 창의적 사고 능력은 해당 분야의 전문 지식을 토대로 살펴본 여러 현상을 다양하게 해석하고 이를 또 다른 현상들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분석력은 정보와 자료를 수집, 분석, 평가함으로써 자료와 정보에 내재된 의미를 올바르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다. 예술적 상상력은 다양한 시선으로 현상을 이해하고, 깊이 있는 성찰과 창의적인 상상력으로 우리의 삶이나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사람들의 판타지를 표현해 낼 수 있는 능력이다.
영역 | 하위 영역 | 일반화된 지식 | 내용 요소 | 기능 |
---|---|---|---|---|
영화의 특성 | 영화의 개념 | 영화가 바라보는 세상은 다양하고 영화를 바라보는 시선 역시 다양하다. | 영화의 정의 |
|
영화와 다른 예술, 기술과의 관계 | ||||
영화와 산업 | ||||
영화의 종류 | 영화는 서사적 기준으로 극영화와 기록 영화, 실험 영화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극영화 | ||
기록 영화 | ||||
실험 영화 | ||||
영화의 구성 요소 | 이미지 | 영화는 이미지의 움직임과 결합을 통해 의미를 소통하고, 또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 쇼트 | |
앵글 | ||||
장면화 | ||||
몽타주 | ||||
사운드 | 영화에서 사운드는 이미지의 의미 작용을 도울 뿐만 아니라, 의미를 창조하기도 한다. | 음향효과와 영화 음악 | ||
사운드의 역할 | ||||
스토리 | 영화는 다양한 종류의 이야기를 통해 다양한 가치관과 사상을 반영한다. | 영화의 테마 | ||
영화의 내용 | ||||
영화의 역사 | 세계 영화의 흐름 | 영화는 사회, 역사, 인간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해 왔고 예술적・기술적・대중적 예술로 꾸준히 발전해 왔다. | 영화의 탄생과 무성 영화 | |
유성 영화 | ||||
현대 세계 영화 | ||||
한국 영화의 흐름 | 한국 영화는 세계 영화를 받아들여 변형시키고 진화를 거듭하며 발전해 왔다. | 한국 영화의 시작과 1960년대 한국 영화의 르네상스 | ||
1990년대 한국 영화와 현대 한국 영화의 발전 |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