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 창작 입문’은 문예 창작의 본질과 기본적인 표현 원리에 대하여 탐구하는 과목이다. 학습자는 문예 창작의 본질과 이론 및 기초적인 표현 방법을 학습하여 문예 창작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기른다. 그리고 자아에 대한 인식을 통해 삶이 어떻게 문학이 되어가는 지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할 수 있다. 또한, 문학을 매개로 독자와 소통하는 기본적인 창작 원리를 습득함으로써 문학 작품 창작의 기본 소양을 다지고, 삶에 대한 관찰과 삶의 가치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바탕으로 문학 작품을 창작하기 위한 작가 정신을 기른다. 이를 통해 창의적 발상 능력, 문학적 감수성, 문학적 표현 능력, 개성적 표현 능력, 문학적 매체 융합 능력과 같은 과목의 역량을 계발하게 된다. 창의적 발상 능력은 일상적 경험 또는 상상을 작가의 개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새롭게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이다. 문학적 감수성은 문학 작품을 감상, 비평하거나 창작하는 과정에서 작가가 자아와 세계에 대한 관찰과 사유를 통해 얻는 정서적 반응이다. 문학적 표현 능력은 일상어를 문학 언어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적·함축적 언어로 변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다. 개성적 표현 능력은 일상에 대한 색다른 시각과 독창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과 정서를 개성 있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다. 문학적 매체 융합 능력은 문자 매체, 공연·영상 매체, 조형 매체 등 다양한 매체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학적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영역 | 하위 영역 | 일반화된 지식 | 내용 요소 | 기능 |
---|---|---|---|---|
문예 창작의 본질 | 문예 창작의 필요성 | 문예 창작은 개인의 개성적 삶을 표현한다. | 문학과 개인 |
|
문예 창작은 공동체가 추구하는 가치를 담아낸다. | 문학과 공동체 | |||
문예 창작의 원리 | 문예 창작은 공동체의 요구를 반영한다. | 요구의 반영 | ||
문예 창작은 갈래별 미적 형식을 고려한다. | 갈래별 미적 형식 | |||
삶과 문예 창작 | 언어와 문예 창작 | 함축적, 미적 언어를 사용하여 문학 작품을 창작한다. | 함축적 언어 사용 | |
미적 언어 사용 | ||||
인접 예술과 문예 창작 | 인접 예술의 다양한 표현 기법과 형식을 참고하여 문학 작품 창작에 활용한다. | 한국 예술과 문예 창작 | ||
세계 예술과 문예 창작 | ||||
문학 규범과 문예 창작 | 전통적 관습을 토대로 새로운 창작 규범을 창조한다. | 문예 창작 전통 | ||
현대적 창작 규범 | ||||
문예 창작의 생활화 | 창작 메모와 합평을 통해 문예 창작을 생활화한다. | 창작 메모 | ||
합평 |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