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 전공 실기’는 전공(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 재즈댄스, 댄스 스포츠, 힙합 등)을 심화하고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실기 과목으로서 기본동작들을 응용하고 확장한다. 학습자들은 이 과목을 통해 세부 전공별로 다양한 기본동작을 응용하고 움직임 감각을 계발하며, 응용동작을 확장하고 작품 표현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학습 과정 속에서 세부 전공별 다양한 무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무용신체성과 무용동작성과 같은 과목의 역량을 계발하게 된다. 무용은 신체를 매개로 움직임을 통해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예술이다. 따라서 무용에서 신체성과 동작성은 무용 교육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과목의 역량이다. 무용신체성은 무용하는 몸의 해부학적 변인과 모든 성질로서 몸의 정렬상태, 유연성, 평형성, 민첩성 등으로 구성되며, 무용동작성은 외부의 자극에 대하여 움직임으로 반응하는 성질인 움직임 감각과 무용기술의 정확한 수행능력인 무용기술력 그리고 무용동작으로 생각과 느낌을 나타내는 무용표현력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무용 전공 실기’는 무용신체성과 무용동작성을 심화시키는 성격을 갖고 있다.
영역 | 하위 영역 | 일반화된 지식 | 내용 요소 | 기능 |
---|---|---|---|---|
응용동작 | 기본동작의 응용 | 무용 요소와 호흡의 적용은 동작의 표현을 다양하게 한다. | 시간, 공간, 힘의 적용 |
|
호흡의 원리와 적용 | ||||
응용동작의 확장 | 동작은 무용 요소의 변화와 다양한 동작의 결합을 통해 확장된다. | 응용동작의 변형 | ||
응용동작의 결합 | ||||
작품실기 | 레퍼토리 실기 | 다양한 레퍼토리들은 시대성과 역사성, 지역성을 반영하고 있다. | 궁중무용과 민속무용 | |
클래식과 모던 | ||||
기타 레퍼토리 | ||||
작품표현 실기 | 응용동작의 활용과 다양한 레퍼토리의 응용으로 작품이 구성된다. | 응용동작을 활용한 작품실기 | ||
레퍼토리를 응용한 작품실기 |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