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과 몸’은 무용의 매체인 몸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몸 이완 및 정렬의 원리와 방법을 익힘으로써 무용신체성을 강화하는 과목이다. 무용은 몸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한다. 표현의 매체가 몸이며 이에 대한 이해 및 기능의 개발이 무용에서 가장 기본적인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목을 통해 학습자들은 몸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몸 이완 및 정렬의 원리와 방법을 익히게 되고, 무용하는 몸의 해부학적 변인(몸의 정렬 상태, 유연성, 평형성, 민첩성 등)과 지식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무용신체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자신의 삶과 건강에 필요한 기초 능력 및 자질을 지속적으로 계발·관리하게 된다.
영역 | 하위 영역 | 일반화된 지식 | 내용 요소 | 기능 |
---|---|---|---|---|
무용하는 몸 | 몸의 구조 | 몸은 신체를 지지하고 보호하며 운동 기능과 관련된 골격계와 근육계로 기본 구조를 이룬다. | 골격계 |
|
근육계 | ||||
몸의 기능 | 몸은 부위별로 활용 범위와 능력이 다르며, 이로 인해 다양한 움직임이 생성된다. | 몸의 활용 범위 | ||
몸의 활용 능력 | ||||
몸의 정렬과 움직임 | 몸의 이완과 정렬 | 이완의 원리와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몸을 바르게 정렬한다. | 몸 이완과 정렬의 원리 | |
몸 이완과 정렬의 실제 | ||||
몸의 조화와 균형 | 몸의 조화와 균형은 무용 움직임의 기초가 되며, 움직임의 효율성을 높인다. | 몸 조화와 균형의 원리 | ||
몸 조화와 균형의 실제 |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