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이론’은 미술 전공 실기 및 감상과 비평 활동에 바탕이 되는 제반 이론을 학습하는 과목으로서, 고등학교 예술 계열 미술 전문 과목 전체를 아우르는 개론적 성격을 지닌다. 미술 활동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사고의 틀 안에서 분야별 기초 지식과 경험을 유연하게 조직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미술 이론’ 과목에서는 미술 작품의 창작과 감상 활동에서 필요한 핵심적인 내용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내용 영역은 ‘미술의 이해’, ‘조형론’, ‘비평론’으로 구성된다. 학습자는 ‘미술 이론’ 과목을 통해 미술의 여러 분야와 관련된 지식과 개념, 정보들을 다양한 미술 작품에 활용하고 해석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 능력과 융합 능력, 문제 해결 능력 등을 기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능력은 학습자 자신의 전공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거나 심화하는 토대가 될 수 있다.
영역 | 내용 영역 | 내용 요소 |
---|---|---|
미술의 이해 | 미와 미술 |
|
미술과 사회 |
|
|
미술의 종류 |
|
|
조형론 | 조형 요소와 원리 |
|
색채 이론 |
|
|
주제 표현 방법 |
|
|
비평론 | 감상과 비평의 의미 |
|
비평 활동 |
|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