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2023. 4. 2.(일)] (가칭)충북 다차원 학생성장 플랫폼 새 이름을 지어주세요! 외 1건

  • 자료제공 정책기획과, 자연과학교육원
  • 보도일자 2023/04/02
  • 조회수350
  • 작성자 충북교육소식 관리자
  • 등록일2023.04.02.
  • 연락처 043-290-2025
[2023. 4. 2.(일)] (가칭)충북 다차원 학생성장 플랫폼 새 이름을 지어주세요! 외 1건 이미지1
[2023. 4. 2.(일)] (가칭)충북 다차원 학생성장 플랫폼 새 이름을 지어주세요! 외 1건 이미지2

 

1. (가칭)충북 다차원 학생성장 플랫폼 새 이름을 지어주세요!

- 43일 부터 16일까지 2주간 명칭 공모 -

 

충청북도교육청(교육감 윤건영)이 오는 3()부터 2주간, 학생주도성 성장을 지원하는 충북형 교수학습 통합 플랫폼인(가칭)충북 다차원 학생성장 플랫폼명칭을 공모한다.

(가칭)다차원 학생성장 플랫폼은 학생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 다차원으로 학생들을 진단하고, 학생별 진단 결과에 따른 AI기반 맞춤형 피드백과 학습이력 관리를 지원하며,

독서인문, 진로, 인공지능교육 등 학생이 주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을 지원하는 충북형 교수학습 통합 플랫폼이다.

도교육청은 올해 플랫폼 구축에 착수하여 9월까지 1차 구축을 완료하고, (가칭)다차원 학생성장 플랫폼서비스 운영 학교(학급)를 선정하여 시범운영 할 예정이다.

이번 명칭 공모는 플랫폼을 활용할 교육공동체가 직접 참여하여 상징성을 담고 있으며 부르기 쉽고 알기 쉬운 이름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모 신청은 충청북도교육청 교직원, 학생, 학부모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참여 방법은 담당자 이메일 등을 이용하여 제출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충청북도교육청 누리집(https://www.cbe.go.kr)참고

공모기간은 43()부터 16()까지 2주간이며, 내부 심사를 거쳐 최우수작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지급할 예정이며, 심사결과는 421() 개별 통지하며, 충청북도교육청 누리집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2. 자연과학교육원, AI-바이오 교육지원충북 미래교육을 앞당긴다

- 다양한 수학, 과학, 영재 프로그램으로 AI-BIO 지역 인재 양성 -

 

20273월 개교를 목표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부설 AI 바이오 영재학교가 충북 오송에 설립될 예정이다.

이에 충청북도교육청 직속기관 자연과학교육원(원장 김태선)수학을 기반으로 AI교육과정을 강화하고, AI를 활용한 바이오 과학교육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먼저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높이기 위해 충북자연과학교육원부설영재교육원은 미래인공지능(AI) 분야의 교육과정을 강화하여 디지털 시대의 보안기술과 수학 수학적 코딩 과정과 알고리즘의 이해 등 인공지능 관련 주제와 뇌과학 전문가 토크콘서트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연계 융합캠프 등 다채로운 교육활동이 선발된 초중학생 148*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초등융합수학영재 48초등융합과학영재 47중등융합수학영재 28,중등융합과학영재 25

아울러 최석정 서로키움 프로젝트에서는 일반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데이터 사이언스 등 미래 첨단기술의 주요 밑바탕으로 수학이 활용됨에 따라 주제별 전문가 특강이 실시된다.

특히, 바이오 연구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핵자기공명분석기 전자현미경 유전자 증폭기 나노드롭분광기 등 첨단기자재를 갖추고 있어 분자적인 수준에서 생물학적 현상들을 관찰하고 탐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나노세상탐구프로그램은 전자현미경을 활용한 생물의 구조적인 특징을 탐구하는 프로그램으로 고등학교 학생동아리 활동을 지원하며,

전자현미경의 구조 및 원리 성분 분석기능 전자현미경 사용의 실제 거대한 전자현미경인 방사광가속기 활용까지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탐구과정을 거치면서 학생들의 전자현미경 사진전도 열린다.

아울러 고교과학탐구교실은 자연과학교육원의 첨단기자재를 활용한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융합과학 교육과정 심화탐구활동 지원 프로그램으로 생명과학의 경우 DNA추출, 유전자 증폭 과정을 거쳐 유전자를 분석한다.

이렇게 분석한 유전자 데이터를 빅데이터화시켜 분자생물학에서 어떻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하는지 정보생물학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

뿐만아니라, 고교과학아카데미에서는 공동교육과정 및 소인수 수업 등 학교교육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과학 관련 10개 과정을 지역 대학 전문가 강연과 탐구실험 활동으로 구성하여 6차시에 걸쳐 진행한다.

특히 단백질 구조 기반의 신약개발주제는 생체 내 주요 질병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AI 기술을 활용한 단백질의 구조 예측 및 신약 탐색과정을 알아본다.

그리고, 국제적인 시각과 경험을 갖추는 것도 매우 중요하기에 충북노벨 100100 창의과학페어를 통해 선정된 초, , 고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충북형 노벨 리더키움 해외 프로젝트를 운영한다.

이는 노벨상의 성지인 스웨덴과 영국을 가서 노벨상 수상자를 다수 배출한 연구소와 대학에서 강연을 듣고, 영국의 DLS(방사광가속기)를 견학하며 유럽 과학발전의 현 주소를 보게 될 것이다.

김태선 자연과학교육원장은 충북은 바이오 인프라로 특화된 오송지역에 AI 바이오 영재학교 설립으로 인해 지속가능한 미래교육에 한 걸음 다가섰고, 이에 자연과학교육원은 지역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AI-바이오 분야의 다양한 교육 컨텐츠 개발과 보급으로 학생 성장을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