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교육지원청

충주지역 교(원)감단 한 목소리, '응답하라 학교지원'

  • 작성자 충주교육지원청
  • 등록일2022.12.31.
  • 조회수133
충주지역 교(원)감단 한 목소리, '응답하라 학교지원' 이미지1

충주지역 교(원)감단 한 목소리, '응답하라 학교지원'



- 현장 중심 학교지원을 위한 충주지역 교()감단 워크숍 실시

- 충주지역 2022 학교지원 사업 평가 및 2023 사업 제안

- 현장 목소리에 응답하는 실질적 현장 중심 학교지원 노력



충주교육지원청(교육장 배승희)1221(), 충주지역 유····특수학교 71교 교()감들과 함께 ‘2022 현장 중심 학교지원을 위한 교감단 워크숍’(이하 교감단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이번 교감단 워크숍은 수업과 생활교육 중심의 학교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2022년 학교지원 사업 평가, 2023년 학교지원 사업 및 정책 방향 제안을 주제로 진행되었다.

충주교육지원청은 워크숍에 앞서 2022년 학교지원 사업 현황과 2023년 사업 계획을 안내하여 교()감들의 이해를 도왔다.



학교지원 사업 평가에서는 코로나19 감염 등 교사들의 수업 공백을 줄여주는 단기순회기간제 교사지원사업과 기간제교사 채용 지원 사업이 교원들에게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더불어 시설 관리 지원 측면에서는 학교 수목관리, 운동장 평탄화 지원 등의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반면 지난 2년간 추진되었던 초등학교의 지역상생학교사업 종료에 대한 아쉬움도 토로하였다.



지역상생학교란?

2020~2021, 충주교육지원청의 혁신시범연구 교육지원청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한 작은학교 살리기 사업

9개 작은 학교를 지역상생학교로 지정하여, 시내 과대과밀학교에서 작은 학교로만 주소이전 없이 전입이 가능하도록 했던 사업으로 해당 학교들의 전입생 증가로 학교, 학생, 학부모 모두에게 만족도가 높았던 사업



충주지역 교()감들은 ‘2023 학교지원 사업 및 정책 방향 제안통해 단기순회기간제 초·중 교사 증원배치, 농산촌 및 시내 공동화 지역 소규모 학교에 대한 우선 지원, 작은학교 살리기를 위한 지역상생학교 재추진 등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충주교육지원청은 교()감 워크숍에서 나온 평가와 제안 의견을 검토하여 2023 사업 계획과 장기적 쟁책 방향 설정에 최대한 반영할 것이라 전했다.



충주교육지원청 배승희 교육장은 교육지원청의 시각이 아닌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이에 응답할 수 있는 실질적인 현장 중심의 학교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더 많은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