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 광역교육자치제 실시(1991.03.26 이후)
- 충청북도교육위원회
1992. 7. 31. 교육위원회 의사국 직제 제정

교육위원회
의사국
의사과
1996. 01. 12 교육위원회 의사국 직제 개정
- 충청북도교육위원회의사국의설치및사무직원의정수등에 관한조례중개정조례 제2235호
- 1국 1과 2계
의사국장(지방3급), 의사과장(지방4급)

교육위원회
의사국
의사과
1999. 01. 01 교육위원회 의사국 직제 개정
- 충청북도교육위원회의사국의설치및사무직원의정수등에 관한조례 제2432호
- 1국 1과

교육위원회
의사국
의사과
충청북도교육청
1991. 08. 16 지방교육행정기관 직제개편(대통령령 제13451호)
- 부교육감제 부활
- 3국 3담당관 10과
- 교육감 직속-공보담당관 신설
- 부교육감 직속-기획감사담당관, 행정관리담당관 신설
- 서무과 → 총무과, 관리과 → 행정과로 변경
- 초등교육국 신설-초등장학과, 초등교직과
- 중등교육국 신설-중등장학과, 중등교직과, 과학기술과,사회교육체육과

교육감
공보담당관
부교육감
기획감사담당관/행정관리담당관/총무과
- 초등교육국
- 중등교육국
- 중등장학과
- 중등교직과
- 과학기술과
- 사회교육체육과
- 관리국
1993. 01. 30 지방교육행정기관 직제개편(대통령령 제13831호)
총무과 → 관리국으로 소속 변경

교육감
공보담당관
부교육감
기획감사담당관/행정관리담당관
- 초등교육국
- 중등교육국
- 중등장학과
- 중등교직과
- 과학기술과
- 사회교육체육과
- 관리국
1999. 01. 01 지방교육행정기관 직제 개편(대통령령 제15916호)
- 초등교육국, 중등교육국, 교육국, 관리국을 기획관리국, 행정과를 기획관리과, 재무과를 학교운영지원과로 변경
- 교육국-초등교육과, 중등교육과, 교원지원과, 교육정보화과, 평생교육체육과
- 관리국-총무과, 기획관리과, 학교운영지원과, 시설과
- 2국 1담당관 9과

교육감
부교육감
공보담당관
- 교육국
- 초등교육과
- 중등교육과
- 교원지원과
- 교육정보화과
- 평생체육교육과
- 기획관리국
1980년
1981. 11. 19 지방교육행정기구 개편(대통령령 제10632호)
- 부교육감제 폐지, 실업교육과 폐지
- 2국 1담당관 7과
1984. 04. 06 지방교육행정기구 개편(대통령령 제11401호)
1970년
1972. 12. 30. 지방교육행정기구 개편(대통령령 제6439호)
- 부교육감제 신설
- 2국 7과
- 부교육감 직속으로 서무과
- 학무국-사회체육과, 관리국-시설과 신설
1977. 09. 28 지방교육행정기구 개편(대통령령 제8707호)
- 부교육감제 신설
- 2국 7과
- 부교육감 직속으로 서무과
- 학무국-사회체육과, 관리국-시설과 신설
1978. 03. 07 지방교육행정기관 직제 개편(대통령령 제8881호)
- 기획감사담당관 신설(부교육감 직속)
- 2국 1담당관 8과
1960년
1961. 10. 06 교육자치제 폐지(대통령령 제223호)
- 문교사회국이 교육국으로 개편(1국 3과)
- 교육국-교육과, 학교관리과, 문화과
- 교육국장 박재규
1964. 01. 01 도 단위 교육자치제 부활(법률 제1435호)
- 도지사 소속 교육국 폐국
- 충청북도교육위원회 신설 (합의제 집행기구) - 자치기구
- 2국 4과
- 학무국-초등교육과, 중등교육과,
- 관리국-문정과, 재무과
1950년
교육자치제 실시 (1952.06.04 ~ 1991.03.21)
1952. 06. 04 교육자치제 실시(교육법시행령 제29호)
- 도 : 도지사 소속 문교사회국(1국 4과)
- 문교사회국-문정과, 학무과, 사회과, 보건과
- 문교사회국장 윤석린
- 시·군 : 시·군교육구 교육감
최근 업데이트 일시 : 2022/11/04 15:24:37
콘텐츠 만족도 조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