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생 보살핌,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 인성·창의성·특기 개발 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설·운영
지역사회·학교의 여건을 고려하되, 수요자인 학생 개개인의 선택권을 최대 보장
모든 학교에서 방과후 학교 운영
- 교육공동체와의 협조체제 구축 및 교육 프로그램의 홍보 강화
- 학교나 지역여건 등을 고려한 특색 있는 프로그램 추진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학교 자율 운영
- 방과후학교에 대한 학교운영위원회 기능
- 운영방식, 운영시간, 프로그램 개설, 강사채용, 강사료, 수강료 등 방과후 학교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 심의
탄력적인 시간 운영
- 정규교육과정 이외의 시간을 활용하고, 방학이나 토요휴업일과 연계하여 운영
- 지역·학교의 여건을 고려하여 운영하되. 정규수업 이전이나 너무 늦은 시간까지 이루어지는 사례 지양
교육대상 및 장소 확대
- 희망하는 해당학교 학생 뿐 아니라, 타교생, 지역주민까지 확대 운영
- 학교 여건을 고려하여 협약 등을 통해 타 부처·지자체의 요구 시 방과후 활동에 학교시설 적극적 개방
희망 수요 조사를 통한 학생·학부모의 요구에 부합하는 프로그램 개설 운영
- 무학년·수준별 선택 프로그램 중심으로 운영
- 인근 학교 간, 학교급간 연계·공동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
다양한 강사 활용
- 현직교원, 외부강사, 자원봉사자 등 지역사회의 인적 자원을 최대한 확보하여 활용
- 방과후학교 홈페이지를 통한 단위학교 일반강사 및 우수 강사풀 구축·활용
회계 관리
- 수익자 부담을 원칙으로 하되, 저소득층 등 소외계층에 대한 지원 강화
- 학교운영위원회 심의(자문)을 거치고, 학교 구성원 간 협의를 통해 예산 편성· 집행 결과 공개
주기적인 모니터링·평가 및 환류 체제 확립
- 교육청, 학교 자체의 주기적인 점검 계획 수립·추진 및 방과후학교 컨설팅팀 구성· 운영
- 학생·학부모 만족도 조사 및 방과후학교 운영 현황 조사 등을 통한 안정적 정착 유도
최근 업데이트 일시 : 2025/04/22 16:13:27